-
I. 재무회계 – Chapter 01. 현금 및 현금성자산재물손해사정사/회계학 2021. 6. 16. 23:08
1절. 현금 및 현금성 자산
1. 현금
- 통화: 지폐, 주화, 소액현금, 전도금(공장이나 지점이 경비에 충당하기 위해 보유한 현금)
- 통화대용증권: 타인발행수표(선일자수표 제외), 우편환증서, 배당금 지급통지표, 만기가 도래한 국공채 이자표, 만기도래 어음 등.
- 요구불예금: 입출금이 자유로운 예금 (보통예금, 당좌예금)
● 현금 및 현금성 자산과 착각하기 쉬운 것: 가불증, 차용증서, 우표, 수입인지, 부도수표, 사용이 제한된 예금, 당좌차월, 당좌개설보증금, 받을 어음, 선급금
2. 현금성 자산
1) 취득 당시 만기가 3개월 이내에 도래하는 채권
2) 취득 상시 상환일까지의 기간이 3개월 이내인 상환우선주
3) 환매채(3개월 이내 환매조건)
▶ 만기의 판단은 보고기간 종료일 기준이 아닌 취득일 기준으로 판단해야 한다. 또한 3개월 이내 도래할지라도 사용이 제한되어 있다면 현금및현금성 자산이 아니다.
3. 당좌거래
1) 당좌예금 예치 (30만원 한도로 당좌차월 계약)
당좌예금 500,000 / 현금 500,000
2) 당좌개설보증금 예치
당좌개설보증금 100,000 / 현금 100,000
3) 매입채무 발생
상품 700,000 / 외상매입금 700,000
4) 매입채무 결제 (당좌수표 발행)
외상매입금 700,000 / 당좌예금 500,000
당좌차월 200,000
▶ 회사 당좌예금 잔액은 100만원이지만 50만원 한도로 당좌차월 계약을 맺었으므로 거래처가 은행에 100만원 이상 지급제시를 해도 은행이 지급하는 것.
- 당좌예금: 현금 및 현금성 자산으로 분류. 단 사용이 제한된 경우는 제한 기간에 따라 단기(장기)금융상품으로 분류.
- 당좌차월: 당좌예금 잔액이 (-)인 경우 단기차입금으로 분류.
- 당좌개설보증금: 사용이 제한된 예금으로 장기금융상품으로 분류.
2절. 은행계정조정표
유형 회사측 조정 은행측 조정 회사미기입예금 가산 부도수표 차감 은행수수료 차감 은행미기입예금 가산 기발행미인출수표 차감 은행 또는 회사의 오류 가감 가감 [양식]
회사측 잔액 은행측 잔액 수정 전 잔액 80,000 60,000 조정항목 1) 회사미기입예금 5000 2) 부도수표 (15,000) 3) 은행수수료 (25,000) 4) 은행미기입예금 5000 5) 기발행미인출수표 (50,000) 6) 은행측오류 30,000 수정 후 잔액 45,000 45,000 '재물손해사정사 > 회계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I. 재무회계 – Chapter 05. 재고자산 (0) 2021.07.01 I. 재무회계 – Chapter 04. 건설계약 (0) 2021.06.22 I. 재무회계 – Chapter 03. 수익 (0) 2021.06.22 I. 재무회계 – Chapter 02. 수취채권 (0) 2021.06.22 회계원리의 목차 (0) 2021.06.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