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 재무회계 – Chapter 05. 재고자산재물손해사정사/회계학 2021. 7. 1. 00:11
1. 재고자산의 종류
: 상품, 제품, 반제품, 재공품(제품/반제품 제조를 위하여 재공과정에 있는 것), 원재료, 저장품
2. 재고자산의 흐름
기초 재고액 매출원가 당기 매입액 기말 재고액 TTL TTL 3. 재고자산 취득원가
1) 매입원가: 매입가격 + 취득부대비용(수입관세, 매입운임 등) – 매입할인 – 매입에누리 – 매입환출 – 리베이트
2) 제조원가: 매입원가 + 전환원가 = 직접재료원가 + 직접노무원가 + 변동제조간접원가 + 고정제조간접원가
4. 기말재고자산 포함여부
구분 수익인식여부 기말재고자산 포함여부 미착상품 선적지인도조건 인식 O (판매자 입장) 판매자: 포함 X
구매자: 포함 O도착지인도조건 인식 X (판매자 입장) 판매자: 포함 O
구매자: 포함 X적송품 수탁자 미판매분 인식 X 포함 O 수탁자 판매분 인식 O 포함 X 시송품 구매의사 표시 O 인식 O 포함 X 구매의사 표시 X 인식 X 포함 O 반품조건부
판매반품가능성 예측가능 인식O 포함 X 반품가능성 예측불능 인식 X 포함 X 할부판매상품 인식 O 포함 X 저당상품 실사재고 포함 O 인식 X 포함 O 실사재고 포함 X 인식 X 포함 O 5. 재고자산 수량 결정
1) 계속기록법
: 기초재고수량 + 당기매입수량 – 당기판매수량 = 기말재고수량
2) 실지재고조사법
: 기초재고수량 + 당기매입수량 – 기말실지재고수량 = 당기판매수량
3) 혼합법(병행법)
: 기중에는 계속기록법으로 재고자산 판매수량을 실시간 파악하고, 기말에는 실지재고조사를 통해 감모수량을 파악
6. 재고자산 취득단가 결정
1) 개별법: 판매 시점마다 재고자산 단가 추적
2) 선입선출법
3) 가중평균법
가. 총평균법(실지재고조사법의 평균법) – 기초 재고금액과 당기 매입한 재고금액 합계를 자산 총수량으로 나누어 평균단가로 기말재고자산을 산정.
나. 이동평균법(계속기록법의 평균법) – 매입 시마다 재고자산 평균단가 산출
7. 재고자산의 감모손실과 평가손실
기초재고 매출원가 정상감모손실
(매출원가)당기매입 비정상감모손실
(기타비용)재고자산평가손실
(매출원가)기말재고 합계 합계 * 재고자산 감모손실을 먼저 인식하고, 재고자산 평가손실을 나중에 인식한다.
8. 재고자산의 추정
1) 매출총이익률법 – 기업회계기준에서는 인정하지 않음
: 매출총이익률을 이용하여 매출원가와 기말재고자산 금액을 추정
- 매출총이익률 = (매출-매출원가) / 매출 X 100
- 매출원가율 = 매출원가 / 매출 X 100 = 1 – 매출총이익률
2) 소매재고법(매출가격환원법) – 기업회계기준에서 인정
: 판매가로 표시된 기말 재고자산금액에 원가율을 곱하여 기말재고자산 원가를 산정하고 이를 토대로 매출원가를 산정하는 재고자산 추정방식
가. 평균원가 소매재고법
원가율(%) = 기초재고(원가) + 당기매입(원가) / 기초재가(매가) + 당기매입(매가) + 순인상액(매가) – 순인하액(매가)
나 선입선출 소매재고법 – 기초재고는 당기에 다 사용한 것으로 간주
원가율(%) = 당기매입(원가) / 기당기매입(매가) + 순인상액(매가) – 순인하액(매가)
다. 저가기준 소매재고법(전통적 소매재고법) – 보수적 기준
원가율(%) = 기초재고(원가) + 당기매입(원가) / 기초재가(매가) + 당기매입(매가) + 순인상액(매가)
'재물손해사정사 > 회계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I. 재무회계 – Chapter 07. 무형자산 (0) 2021.07.13 I. 재무회계 – Chapter 06. 유형자산 (0) 2021.07.08 I. 재무회계 – Chapter 04. 건설계약 (0) 2021.06.22 I. 재무회계 – Chapter 03. 수익 (0) 2021.06.22 I. 재무회계 – Chapter 02. 수취채권 (0) 2021.06.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