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 재무회계 – Chapter 07. 무형자산재물손해사정사/회계학 2021. 7. 13. 00:38
1. 무형자산의 의의
: 물리적 형체가 없지만 식별가능한 비화폐성 자산
2. 연구비와 개발비
1) 연구단계: 무형자산으로 인식할 수 없으며, 발생한 기간의 비용으로 인식
- 새로운 지식을 얻고자 하는 활동
- 연구결과 또는 기타 지식을 탐색, 평가, 최종 선택 및 응용하는 활동
- 재료, 장치, 제품, 공정, 시스템, 용역 등에 대한 여러가지 대체안을 탐색하는 활동
- 새롭거나 개선된 재료, 장치, 제품, 공정, 시스템, 용역 등에 대한 여러가지 대체안을 제안, 설계, 평가 및 최종 선택하는 활동
2) 개발단계: 조건부로 무형자산으로 인식 가능
- 생산/사용 전 시제품과 모형을 설계, 제작, 시험하는 활동
- 새로운 기술과 관련된 공구, 지그, 주형, 금형 등을 설계하는 활동
- 상업적 생산 목적으로 실현가능한 경제적 규모가 아닌 시험공장을 설계, 건설, 가동하는 활동
- 신규 또는 개선된 재료, 장치, 제품, 공정, 시스템이나 용역에 대하여 최종적으로 선정된 안을 설계, 제작, 시험하는 활동
3. 영업권
1) 종합평가계정법
: 영업권을 무형자산으로 인식
영업권 = 합병 등의 대가로 지급한 금액 – 피매수회사의 순자산 공정가치
: 사업결합의 매수대가가 피매수회사의 순자산 순공정가치에 미달하게 지급한 경우에는 염가매수차익이라는 당기손익(수익)으로 회계처리한다.
2) 초과이익환원법
: 영업권을 초과이익으로 간주
초과이익 = 미래 예상이익 – 정상이익
i. 미래 예상이익 계산 : 경상적인 손익항목만 고려한다. 예를 들어 중단영업손익은 미래 예상이익 추정에서 제외한다.
ii. 정상이익 계산: 정상이익 = 순자산 공정가치 X 정상이익률
iii. 초과이익 계산 = i – ii
iv. 영업권의 계산 = 초과이익 X 연금 현재가치계수
Cf. 영업권은 손상차손은 인식하지만 회복되더라도 손상차손환입을 인식할 수 없다.
'재물손해사정사 > 회계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무비율 (0) 2021.07.26 I. 재무회계 – Chapter 08. 충당부채 (0) 2021.07.13 I. 재무회계 – Chapter 06. 유형자산 (0) 2021.07.08 I. 재무회계 – Chapter 05. 재고자산 (0) 2021.07.01 I. 재무회계 – Chapter 04. 건설계약 (0) 2021.06.22